2018. 7. 13. 18:12ㆍ서예수묵
그림을 그리고 그에 어울리는 시를 찾게 되면 기쁘다.
요즘 배우는 소나무 그리기가 재미있고 시도 너무 좋다.
강사가 체본을 주어 그리고 시는 내가 찾아 쓴다.
강사들은 그림에 시를 써 넣는 것을 안 좋아한다.
짧게 畵題 만 쓰라고 한다.
나는 시가 좋아 써 넣고 싶어 하는 것.
예전 강사에게 배우던 방법
(그림이 요란하지 않고 솔잎 그리기는 먼저 연하게, 좀 마르면 다시 진하게
몇 번을 반복, 덧칠하라고 했는데...) 戊戌年 2018년
체본을 복사해 주면 열심히 模寫한다. 소나무 그림은 다 남의 그림을 체본으로 주었다.
|
|
(그림을 다 그리고 마른 후에 그림 전체에 붓으로 물칠을 하고 덜 말랐을때 물에 색을 타서 바다, 하늘색을 칠한다.)
|
|
추사 김정희 의 세한도. 제자 藕船 李尙迪 (우선 이상적) 에게 그려 준 그림
화제 歲寒圖 옆에 제자 藕船(우선)에게 '이것을 감상하시게' 藕船是賞(우선 시상)이란 글을 썼다.
제자 이상적은 이 그림을 가지고 중국에 가서 여러 학자들에게 보여주고
그들에게서 많은 찬사의 글을 받아서 이 그림과 함께 엮어 왔는데
이 그림은 일제 때 돌고돌아 일본인의 수중에 들어 간 것을 손재형씨가 간신히 되찾아 왔다 한다.
|
|
湖上春來似圖畵 (호상 춘래 사 도화) 호수에 봄이 오니 그림같은데
亂峰圍繞水平鋪 (난봉 위요 수평포) 산봉우리들이 에워싸인 수면은 잔잔하네
松排山面千重翠 (송배 산면 천중취) 소나무 가지런히 천겹 비취색으로 산자락 수를 놓았고
月點波心一顆珠 (월점 파심 일과주) 밝은달 호수 한 가운데 한 알 구슬로 박혔네
~白居易 시~
2019.
새로 바뀐 강사는 솔잎을 단번에 확 진하게 그리고 가는 붓으로 가장자리 솔잎을 찍듯이 그린다.
탯점도 진하고 굵게 여러 군데에 찍고 곁가지도 많이 벋어 나오게...
체본도 다 자신이 직접 그린 그림이다.
다 그리면 보정해 주는데 어느 정도 그린 그림만 보정해 주지
아주 제멋대로 기법도 맞추지 않고 그린 그림은 아예 보정을 안 해 준다.
|
|
내가 선을 가늘게 그린 그림에 강사가 탯점을 굵게 더 찍고
곁가지를 여러 개 더 그려 넣고 솔잎색을 진하고 가닥가닥을 더 퍼지게 그려 넣었다.
바위에 붙은 이끼도 더 굵게 그려 넣었다.
강사는 선이 굵게 그린다. 그래서 혹가다 그림이 지저분한 듯이 느껴지기도 한다.
畵題를 생각해 내지 못 해 그림만 그려 가지고 왔다.
집에 오면서 생각해 낸 畵題 몇 개.
秋 來 鶴 飛 松 葉 厚 (추래학비송엽후)
가을이 오니 학이 날아 오고 송엽은 두터워지네.
또 한 편은
寒 巖 露 根 松 (한암노근송) 蒼 空 飛 翔 鶴 (창공비상학)
차거운 바위에 뿌리를 드러낸 소나무가 꿋꿋하게 서 있고
푸르른 가을 하늘엔 학이 비상을 하네.
寒巖이라 가을이 아니고 겨울같은 느낌이다.
가을을 읊고 싶은데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