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스크랩] 해남 대흥사 둘러보기(현판)

2015. 11. 13. 14:37여행 이야기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해남 頭輪山 大興寺 (두륜산 대흥사)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大雄寶殿 (대웅보전)





秋史 金正喜 가 제주도로 유배가는 길에 艸衣禪士 (초의선사)가 있는

이 대흥사(옛 이름 대둔사)에 들렀을 때

 

李匡師 ( 이광사)  가 쓴 이 대웅전 현판이 보기 흉하다고 당장 떼어 내라하고

            자기가  대웅전 현판을 새로 써 주었다 한다.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 자신만이 최고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던 그의 눈엔 이 현판이 우습게

            보였던 것이다.

 

또 함께 차를 마시던 禪房에도 무량수각이란 현판을 써 주고 갔다는데,


귀양을 마치고 돌아가는 길에 다시 이 절에 들러서는 마음이 바뀌었는지

예전에 달았던 그 이광사의 현판이 아직도 있냐고 묻고


다시 그것으로 바꾸어 달라고 부탁해서 지금의 이 大雄寶殿 현판이

 다시 달리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.


몇 년 전 읽은 유홍준의 완당평전에서 완당과 초의선사가 교유하던

   이야기가 여러 번 나온 게 기억난다. 
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无量壽閣 (무량수각)


 이 현판은 진품은 아니겠지만 우리는 명필이 썼다는 이 현판 아래에서

기념 사진을 찍었는데 无量壽閣 의 이 无 자는 없을 無의 古字로

無와 같은 뜻인데

우(尤) 와 혼동해서인지  무 字가 아니라고 우겨대는 친구들이 있었다.


또  이 글씨체가 隸書(예서) 가 아니라고 우기는 친구도 있었다.


반듯하게 정자로 쓴 글씨는  楷書(해서)

조금 흘려서 쓰면  行書(행서)

완전 못 알아 보게 흘려 쓰면  草書(초서)

납작하고 반듯하게 쓴 글씨  隸書(예서)

완전 알아보기 어려운 그림같은 글씨는  篆書(전서)


秋史(중년 이후에는호를 阮堂이라 썼음)도 명필이었지만

圓嶠 李匡師란 분도 당시 명필로서 상당히 인기가 있어

전라도 섬에서  유배생활하는 동안 전라도의 절이란 절은

너나 없이 그를 찾아가 이 분의 글을 받아 갔다고 하는데

   끝내 유배에서 풀려나지 못 한 채 한많은 생을 마감한 분이다.


  조선 후기 실학자이며 燃藜室記述(연려실기술) 을 쓴 李肯翊이

  이 분의 아들이다.


(연려실이란 말은 명아주 지팡이를 태운 방 이란 뜻으로 밤에 어두워

책 읽기가 어려워 명아주 지팡이를 태우며 그 빛으로 책을 읽었다는

고사가 있고 이 긍익의 호 라고 한다.

책의 내용은 태조이래 왕대의 사건을 기록한 野史라는데

고등학교때 배울 때는 무슨 기술을 적은 책인가 생각했던 기억이 있다.

    이  책의 제호도 아버지 이광사가 써주었다고...)


            이 현판도 사실은 그가 유배되어 있을 때 써 준 것으로

이 글씨만 보면 별로 잘 쓴 것 같지 않지만 이 대흥사에 있는

다른 현판들도 그가 써 준 것이라고 하니 수긍이 간다.




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  行書체로 쓴   枕溪樓 (침계루 ; 계곡을 베게 삼아 누워 있는 누각)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枕 ; 베게 침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解脫門 (해탈문)
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千佛殿 (천불전)


艸衣旋師(초의선사)는 차 에 대해서 일가견을 가졌던 스님으로   
茶聖으로 불릴정도로  우리나라 의 다도를 정립한 분이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초의선사)


(초의선사 부도)           


           또 이 절의 한 편에는 서산대사를 기리는 사당 表忠祠 가 있는데
현판은 정조대왕이 쓴 것이라 하니  또한 의미가 있는 현판이다.


위에 있는 노인들이 쓴 글씨와,

 젊고 패기 넘치는 정조대왕의 글씨는 완전히 다른 느낌이다. 



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서산대사 영정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
이 표충사 의 祠 는 사당 사 이고 경상도 김천엔가도 表忠寺 가 있는데

그 寺 는 절 사 자다.

그곳도 사명대사인가를 모신 절이라고 들은 것 같다.



이 날 오후에 목포 유달산 노적봉 앞에 도착하여 우리 몇몇은 힘들여

전망대까지 올라 가 함께 기념사진을 찍었다.


그 곳 전망대 儒仙閣 (유선각)의  현판은

海公 申翼煕선생 이 목포에 들렀을 때 쓰신 것이라 해서 반가웠다.


(윗줄~  심상근. 이건우. 정규학. 이수영. 정갑상. 윤중영. 박영준

아랫 줄~ 조민자. 김광자. 김인숙. 임순규. 엄숙자. 신호영. 김양자. 박연우)



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 民國 三十三 中秋
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 儒仙閣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申翼熙

 1919년 상해 임시정부 수립 해를 대한민국 수립으로 하고 

민국 1년으로 쳐서 1951년에 쓰신 것이라 민국 33 이라 하신거다.

 이 분이 쓰신 다른 글들에도 다 민국 얼마 라고 씌어 있다.

(이 현판은 낡은 원판을 올 해 다시 복원한 것)

지금 우리 역사책 다시 쓰기에서는 대한민국 수립을 언제로 하느냐하는 문제로

상해 임시정부 수립을 정부 수립으로 보느냐, 아니면 1948년  남한 정부 수립을

부 수립 해로 보느냐 의견이 분분하다.

 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 작은 할아버지가 쓰신 현판 앞에서 감회외 젖은 호영이)



막연히 경치만 둘러 보는 여행이 아니고 이야기를 찾아 살펴 보며

 다니는 여행은 더 흥미 있고 의미가 있다. 









출처 : 서울사대부고14회
글쓴이 : Jini 원글보기
메모 :

 

'여행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칠갑산의 겨울 풍경  (0) 2016.02.13
을미년 섣달 그믐의 일몰  (0) 2016.02.12
공세리 성당, 지중해 마을  (0) 2015.09.05
서산 여행  (0) 2015.09.04
천리포 여름 여행  (0) 2015.09.04